LG CNS 컨소시엄 선정…제안서에 수상한 점 포착 <br />경찰 대외비, 5달 전 작성…사전 유출 추정 대목<br /><br /> <br />제주 해상 감시 사업을 둘러싼 경찰과 특정 업체 간 유착 의혹에 대한 YTN의 연속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 결과, 6개 업체가 참여한 공개 입찰 때부터 수상한 정황이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 대외비 문건의 사전 유출을 의심할 만한 자료를 YTN이 입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우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주지방경찰청이 주도한 '지능형 해안경계시스템 구축 사업' 설명서입니다. <br /> <br />열 영상 감시 장비, TOD와 레이더를 제주 해안에 설치해 해상 경계를 책임지겠다는 게 골자입니다. <br /> <br />입찰엔 국내 주요 업체 6곳이 뛰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[입찰 참여 업체 관계자 : 상당히 금액이 큰 사업이었습니다. 그래서 대기업들이 대부분 참여했고요.] <br /> <br />치열한 경쟁 끝에 LG CNS 컨소시엄이 사업자로 선정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YTN이 사업 제안서를 살펴봤더니 수상한 점이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TOD 사업의 핵심 시설인 상황실 관련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그림과 설명자료 내용이 YTN이 입수한 제주경찰청 대외비 문서와 같습니다. <br /> <br />상황실 모습과 장비 명칭, 설명 내용의 토씨 하나 바뀌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보고 베낀 수준입니다. <br /> <br />[김보미 / 조달청 출신 변호사 : 입찰 업체의 제안서에 발주처의 입찰 관련 대외비 문서 중 일부라도 그대로 차용되는 것은 흔하게 발생하는 경우는 아닙니다.] <br /> <br />경찰 대외비 문서는 지난 2019년 6월에 작성됐고, 업체 제안서는 같은 해 11월 경찰에 제출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의 사업 관련 기밀자료가 사전 유출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제주경찰청은 속 시원한 대답을 내놓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제주지방경찰청 관계자 : (이것에 대해서 따로 알고 계셨어요?) 아뇨, 몰랐어요. 확인해 봐야죠.] <br /> <br />LG CNS 컨소시엄 측은 제안서 작성에 다른 협력 업체도 함께 참여했다며 설사 경찰 대외비 자료와 유사한 내용이 있더라도 법적 제재 사항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법률 전문가들은 이해할 수 없는 해명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유돈 / 변호사 : 입찰의 공정을 해한 경우에는 입찰 방해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기밀이 누설됐다고 하면, 공무원에게는 공무상 비밀을 누설한 공무상 비밀 누설죄가 성립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제주 해안가 경계를 위해 첨단 무인 감시 시스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10106054945078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